11.05.北, 북중 접경서 서해로도 미사일 발사…中과는 협의했나?
작성자
akuc
작성일
2022-11-05 17:51
조회
570
美 전략폭격기, 한반도 전격 전개
미국 전략자산으로 꼽히는 B-1B 2대가 한반도 상공을 비행하고 있다.
지난달 중순 태평양 괌에 배치됐다가 이날 오후 날아온 B-1B 2대는 한반도 상공에서 한국 F-35A 4대, 미국 F-16 4대와 함께 한미연합공중훈련을 시행했다고 합참이 밝혔다. 2022.11.5
한미 공군, '비질런트 스톰' 훈련 실시
한미 공군이 지난달 31일부터 오는 4일까지 대규모 연합공중훈련 '비질런트 스톰(Vigilant Storm)' 훈련을 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사진은 '비질런트 스톰' 훈련에 참가한 미군 F-35B 전투기가 군산기지 활주로를 이륙하는 모습. 2022.11.1
北, 북중 접경서 서해로도 미사일 발사…中과는 협의했나?
2022-11-06 06:00
협의했다면 밀착과시 의도…안했다면 우회적 항의 표시 가능성
사거리상 '비질런트 스톰' 참가 전력 주둔지 겨냥 시위 가능성도
오늘 11월 5일 저녁, 아래는 서울 연합뉴스입니다.
*****************************************************************************
북한이 북중 국경과 가까운 북쪽 지역에서 중국 어선들이 몰려있는 서해상으로 처음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배경과 의도에 관심이 쏠린다.
6일 군에 따르면 북한은 전날 오전 11시 32분께부터 11시 59분께까지 평안북도 동림 일대에서 북한 서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4발을 발사했다.
이들 미사일은 비행거리 약 130㎞, 고도 약 20㎞, 속도 약 마하 5(음속 5배)로 탐지됐다.
우선 발사 장소부터가 이례적이다. 동림은 중국 단둥에서 고작 20여㎞ 떨어진 장소로, 지금까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포착된 적이 한 번도 없는 지역이다.
중국에서 가까운 지역에서 중국 선박들이 득실대는 서해로 미사일을 발사한 점을 두고는 중국과 북한의 밀착을 보여주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이 사전에 중국 측과 논의해 발사 장소와 방향을 선정함으로써 북중 밀착을 과시하려 했을 의도가 엿보인다는 것이다.
최근 중국 관영매체에서는 지난 2일 발생한 북한의 동해 북방한계선(NLL) 이남 탄도미사일 발사와 같은 중대한 도발에 대해서조차 "북한에 대한 군사적 억제력은 북한의 강력한 대응을 자극할 뿐"이라는 주장을 보도한 바 있다.
미중 전략경쟁에 나서던 중국이 우크라이나 전쟁 등 글로벌 정세와 맞물려 북한의 행동 여지를 더욱 열어줌으로써 미국에 골칫거리를 더해주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위원은 "중국과의 협의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며 "북한의 핵·미사일 활동에 대한 중국의 발언들을 고려할 때 유엔 대북 제재에 대한 중국의 실행 의지 약화와 북중 밀월 관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반대로 사전 협의가 없는 것이었다면 폭주하는 북한의 도발을 중국조차 어쩌지 못하는 심각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제1위원회(군축·국제안전 담당)에서 있었던 '북한의 6차례 핵실험을 규탄하고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 내용에 대한 투표에서 찬성표를 던졌다. 러시아는 기권했다.
중국이 미국과 대립하면서 북한을 감싸고 돌기는 하지만, 내심으로는 한반도 불안정 고조와 북한의 망동이 달갑지 않을 수도 있음을 투표로 표출한 것이라면 북한 역시 불만 의사를 표출한 게 아니냐는 시각이다.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는 미국 전략폭격기 B-1B '랜서'를 동원한 한미 연합공중훈련 '비질런트 스톰'(Vigilant Storm)에 대한 반발 성격이 명확하지만, 거기에 중국에 대한 항의를 은연중 끼워 넣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북한이 과거에는 중국을 고려해서 순항미사일이나 지대공 미사일을 제외하고는 미사일을 서해상으로 잘 쏘지 않았다"며 "중국 어선과 상선이 다니는 서해 공해상으로 쏜 것인데, 중국도 제어 못 하는 수준일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과의 사전 협의 여부와 무관하게 최후방의 새로운 장소를 발사 지점으로 선택한 의도에도 관심이 쏠린다.
북한은 지난달 6일 평양 삼석, 9일 강원 문천 등 역시 새로운 장소에서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적이 있다. 당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평소 훈련과 다른 상황이 펼쳐질 유사시를 대비하는 전술적 역량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이번에도 이동식 발사대(TEL)를 이용해 낯선 장소에서의 발사에 숙달하려 했을 가능성이 있고, 북한으로서는 최후방에 가까운 지역에서 유사시 추가 타격 역량을 확보하려 했을 개연성도 있다.
20여㎞의 낮은 고도와 130여㎞라는 짧은 비행거리를 두고도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바로 직전 발사였던 3일 오후에 스커드-C로 추정되는 구형 미사일을 쐈다고 알려진 것과 달리 이번에 발사된 미사일은 최근 발사 빈도가 높았던 신형 SRBM 중 하나인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올해 1월 27일 고도 20㎞에 거리 190㎞, 4월 16일 고도 25㎞에 거리 110㎞로 탐지된 신형 SRBM을 쏜 적이 있는데 이번에도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 또는 초대형 방사포(KN-25) 계열일 것으로 추정된다.
낮은 고도는 요격을 어렵게 하려는 의도이며, 이번에 나타난 사거리 130㎞는 최전방에서 발사할 경우 우리 군 F-35A가 배치된 청주 또는 비질런트 스톰을 총지휘한 경기 오산의 항공우주작전본부(KAOC)를 포괄하는 거리라는 점이 눈길을 끈다.
류성엽 위원은 "한미 연합공중훈련에 참가한 주요 전력들에 대한 타격 능력을 과시했다는 측면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